디자인학교 후기

용인시 동천마을네트워크 _ 웹포스터 디자인 쉽게 하기




용인 수지 동천마을네트워크 디자인 교육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엔 동천마을네트워크가 있습니다. 동천동의 여러 활동가들이 정보를 교류하고 협업과 연대를 추구하는 네트워크입니다. 사다리도 수지 동천동에 위치하며 여러 마을 공동체 활동가들과 함께 디자인 프로젝트를 해왔고, 교육을 진행해왔는데요. 

작은 단체들은 홍보 인력은 물론 디자인 에산도 매우 부족할 때가 많습니다. 이번에 사다리에선 진행한 교육은 마을의 크고 작은 단체 활동가분들을 위한 맞춤으로 진행했어요. 그래서 사전에 어떤 수요가 있는지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디자인 교육 사전 설문조사  


양식 응답 차트. 질문 제목: 디자인을 배우고 싶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장 필요한 1가지만 선택해주세요)  . 응답 수: 응답 9개.



양식 응답 차트. 질문 제목: 현재 사용 가능한 온라인 디자인 툴은 무엇인가요? (복수 선택 가능)  . 응답 수: 응답 9개.



양식 응답 차트. 질문 제목: 디자인 수업 때 배우고 싶은 디자인 작업물을 적어주세요. (복수선택 가능) . 응답 수: 응답 9개.


양식 응답 차트. 질문 제목: 디자인 관련 업무를 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복수선택 가능)  . 응답 수: 응답 9개.


수요조사에서 많은 분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에 맞춰,  간단한 활동 웹자보나 카드뉴스를 체계적이지만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 했습니다. PPT나 디자인 툴이 어려운 분들이 많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시는 미리캔버스를 활용했고요. 






1회차 디자인 수업 

단순히 예쁘게 정리하는 디자인이 아니라, 여러명이 의사결정에 관여하고 피드백을 받으며 수정이 많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처음의 기획이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강조하고 또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어요. 



디자인의 목적





디자인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형태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사다리에서도 프로젝트를 의뢰 받을 때 사이즈와 용도를 꼭 확인하고 합니다. 출력하지 않을 거라면 꼭 비율을 맞출 필요가 없거든요. 보다 자유롭게 길게 배치를 하고 글자로 크게 해서 모바일에 적합하도록 하는 편이 좋습니다. 



내용 정리

원고가 확정된 다음 디자인을 합니다. 원고가 완성되지 않고 디자인에 착수하면 수정할 부분이 매우 많이 생겨요! 



디자이너가 없는 조직에선 내용이 확정되기도 전에 디자인부터 보자고 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발생합니다. 내용은 의사 결정이 늦어지기 때문에 미뤄지는 것인데요. 그러나 내용을 확정하지 않고 디자인에 들어갈 경우 디자인이 매우 많이 바뀌게 되고 그만큼 시간이 늘어납니다. 90% 정도의 내용이 확정된 후에 디자인에 들어가야 합니다. 





나에게 꼭 필요한 레퍼런스 찾는 법  

핀터레스트나 비핸스 모두 좋은 레퍼런스 사이트입니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아닌 분들이 이런 사이트에 들어가면 하염없이 시간만 버리기 딱 좋습니다.  전략적으로 자료를 찾아야 합니다.  






레퍼런스 역시 딱 하나를 택하기 보다 이미지, 배치, 색상 등의 요소로 나눠서 자료를 찾아봅니다. 

그 다음, 이건 디자이너가 아닌 분들에게만 해보실 수 있는 팁인데요. 아마 이런 팁은 어디에서도 알려주지 않았을 거예요!  그럼 미리캔버스에서 나에게 딱 맞는 템플릿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그건 두번째 시간에 다뤄보았습니다. 









2회차 디자인 수업 

2회차 수업에선 직접 웹자보, 웹포스터를 제작해보았습니다.

참여하신 분들 모두 미리캔버스를 이용했는데요. 미리캔버스에서 템플릿을 고를 때 '예쁜 것' 먼저 찾기 쉽지요. 그러나 그렇게 고르면 내용을 적용할 때 디자인 콘셉트를 살리지 못합니다.

먼저 내가 넣고 싶은 내용에 가까운 템플릿을 먼저 찾습니다. 그 다음에 그 템플릿의 사이즈를 조정합니다. 

그리고 내용을 다 넣습니다. 배치와 이미지를 조정합니다. 마지막으로 마음에 들었던 템플릿의 디자인 요소를 복사합니다. 색깔을 스포이드 툴로 찍어서 바꿉니다. 글로 쓰지 어렵죠? 하지만 직접 하면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소수 정원 수업이라 한 분씩 디자인하는 걸 봐드렸습니다.  

이렇게 완성한 수강생 분들의 디자인을 두 개만 공개합니다.

과제 예시)









사다리에서는 사회적경제조직이나 마을 공동체의 활동가분들을 위한 맞춤형 디자인 교육을 진행합니다. 회의실이 없다면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있는 사다리의 회의실을 사용할 수도 있어요. 노트북은 개별 준비입니다. 기관으로 파견 강의도 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cs@sadari.kr 


상호 : 사회적협동조합 사다리 

대표 : 민순기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영 

대표전화 : 070-5102-6500 | 이메일 : cs@sadari.kr

주소 : (16825)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로 129번길, 18

사업자등록 : 347-82-00093 | 통신판매 : 2020-용인수지-1032

입금계좌 : 농협 351-0981-3290-03 (사회적협동조합 사다리) 





Copyright ⓒ 2021 사다리 All rights reserved.